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중 강제집행을 당한 인원이 2016년 역대 최고치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정보공개센터가 한국장학재단에 청구한 연도별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법적조치 현황에 따르면 2016년 총 2,556명이 가압류, 소송, 강제집행의 법적조치를 받았으며 그 금액은 225억 가량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도별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법적조치 현황>
(단위 : 명, 백만 원)
유 형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인원 | 금액 | 인원 | 금액 | 인원 | 금액 | 인원 | 금액 | |
가압류 | 311 | 1,938 | 968 | 6,609 | 600 | 4,665 | 694 | 6,181 |
소 송 | 337 | 1,731 | 374 | 1,775 | 362 | 1,999 | 1,056 | 4,439 |
강제집행 | 1 | 6 | 6 | 42 | 37 | 267 | 35 | 340 |
합 계 | 649 | 3,675 | 1,348 | 8,426 | 999 | 6,931 | 1,785 | 10,960 |
유 형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인원 | 금액 | 인원 | 금액 | 인원 | 금액 | 인원 | 금액 | |
가압류 | 525 | 5,215 | 458 | 4,839 | 669 | 6,626 | 634 | 7,152 |
소 송 | 3,210 | 20,289 | 6,086 | 40,483 | 1,924 | 14,657 | 1,611 | 12,007 |
강제집행 | 7 | 90 | 8 | 74 | 61 | 561 | 311 | 3,432 |
합 계 | 3,742 | 25,594 | 6,552 | 45,396 | 2,654 | 21,844 | 2,556 | 22,591 |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법적조치 현황은 2014년까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 2015년부터는 감소하고 있는 현황입니다. 특히 2014년에 법적조치현황이 급격히 증가한 이유는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채권을 국민행복기금에 매각하기 위해 시효가 도래된 채권의 시효연장을 위한 소송이 다수 진행되었기 때문입니다. 당시에는 학자금대출 장기연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민행복기금으로 연체채권을 매각하였지만 정작 국민행복기금을 운영하는 캠코는 국민행복기금으로 매각한 채권을 제3금융기관에 위탁하여 추심을 진행했습니다. 때문에 강한 채권추심이 이루어지는 ‘약탈적 채권추심’이라는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2016년에는 끝내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해 최후의 집행이라 볼 수 있는 강제집행까지 당하게 된 대출자가 1년 동안 80% 증가되었습니다.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중 강제집행절차에 들어간 인원은 2015년 61명으로 그 금액은 5억 6,100만원입니다. 2016년 강제집행절차 인원과 금액은 311명, 34억3,200만원으로 그 인원과 금액이 학자금대출제도가 생긴 이후 역대 최고치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정부는 저금리 대출로 학자금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장기연체자 강제집행 수치를 보면 대출 이후 학생들의 삶이 위태롭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매년 높아지는 청년실업률만 보더라도 학자금대출제도로 높은 학자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서울노동권익센터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실업률은 2010년 8%에서 2015년 9.2%, 2016년 3분기 평균 10.3% 수치로 매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청년실업률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자금대출 장기연체는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더 이상 학자금대출의 방식으로는 대학등록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정부는 ‘국가장학금’제도를 통해 대학등록금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지금까지 학자금대출을 이용한 현황을 살펴보더라도 여전히 학자금대출을 이용하는 학생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장학재단에서 공개한 연도별 학자금대출 현황을 보면 2016년에도 65만여명의 학생이 학자금대출을 이용하였으며 그 금액은 1조 9,128억원입니다. 2014년부터는 학자금대출 현황이 감소는 하였지만 그 추세는 아주 미미한 수준입니다.
<연도별 학자금대출 현황>
(단위 : 억 원, 명)
구분 | 2009-2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학 부 생 | 금액 | 10,696 | 24,629 | 23,373 | 19,592 | 21,418 | 19,609 | 16,689 | 14,717 |
인원 | 302,241 | 695,806 | 660,971 | 650,384 | 698,360 | 686,973 | 616,597 | 563,686 | |
대 학 원 생 | 금액 | 1,318 | 3,032 | 3,480 | 3,672 | 4,102 | 4,608 | 4,565 | 4,411 |
인원 | 29,229 | 65,585 | 72,563 | 77,283 | 86,440 | 96,749 | 96,082 | 93,153 | |
소 계 | 금액 | 12,014 | 27,661 | 26,853 | 23,264 | 25,520 | 24,217 | 21,254 | 19,128 |
인원 | 331,470 | 761,391 | 733,534 | 727,667 | 784,800 | 783,722 | 712,679 | 656,839 |
※ 저금리 전환대출 제외, 인원은 학기별 대출인원의 합계임
강제집행이라는 벼랑 끝에 내몰린 청년들, 학자금대출 장기연체로 인해 신용불량자라는 꼬리표를 달고 취업해야 하는 취업생들, 국가장학금이 있지만 여전히 학자금대출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학생들... 학자금대출 현황과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법적조치 현황만 봐도 대한민국의 2-30대 청춘들의 현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 앞에 학자금대출의 낮은 이자율, 대출 장기연체자들에 대한 신용회복지원제도, 까다로운 계산방식의 국가장학금제도 등과 같은 정책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자금을 대출해 주는 제도가 아닌, 대출을 해야 할 만큼의 ‘높은’ 대학등록금에 집중해야합니다. 대학교육연구소에서 발표한 통계(http://khei-khei.tistory.com/1990)에 따르면 2016년 사립 일반대학 연간 평균 등록금은 737만원, 국립 일반대학은 421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2012년에 비해 사립 일반대는 2만원 인하되었고 국립 일반대는 2만원 인상된 금액으로 여전히 높은 대학등록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대학은 대학등록금 문제를 더 이상 ‘대출’로 귀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현실성 있는 등록금 정책을 마련해야 할것입니다.
170221_정보공개_연도별_대학별_학자금대출_현황.hwp
'우리의 활동 > 오늘의정보공개청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무회의에서는 나 대신 '누가', '무슨 논의'를 할까? (0) | 2017.04.25 |
---|---|
청와대 직원과 전화 통화해본 사람 손~! (푸쳐핸접~) (0) | 2017.04.19 |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 명단이 왜 국가안보죠? (0) | 2017.03.27 |
5월 1일부터 10일까지 해외에 있는 나, 어디에서 투표하죠?? (2) | 2017.03.24 |
아프니까 청춘이요? 아프니까 의료비 지원해줘야죠! (0) | 2017.03.15 |